임신 중에는 몸의 변화와 함께 건강에 대한 걱정도 많아지는데요. 특히 임신성 당뇨는 임산부의 건강과 태아의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질환으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임신성 당뇨란 임신 전에는 당뇨가 없었지만 임신으로 인해 혈당이 높아지는 상태를 말하는데요. 임신성 당뇨는 적절한 관리로 건강한 출산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임당검사라는 선별 검사를 통해 임신성 당뇨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식이요법과 운동, 약물 등으로 혈당을 조절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임당검사의 필요성과 방법, 임신성 당뇨의 관리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임당검사란 무엇이고 왜 해야 하는가?
임당검사는 임신성 당뇨를 진단하기 위한 검사로, 임신 24~28주 사이에 모든 임산부에게 시행하는 검사입니다. 임신성 당뇨는 임신 중에만 발생하는 당뇨병으로, 임신으로 인한 호르몬 변화와 체지방 증가로 인해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며 발생합니다. 인슐린은 혈당을 낮추는 역할을 하는 호르몬인데요.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면 인슐린의 작용이 약해져 혈당이 높아지게 됩니다. 임신성 당뇨는 임산부뿐만 아니라 태아에게도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임신 초기 당뇨는 태아 손상 또는 자연유산을 초래하고, 임신 중기와 말기에는 거대아로 인한 제왕절개 분만과 사산, 고인슐린증 등을 겪을 수 있습니다. 임신성 당뇨로 진단되면 출산 후에도 산모가 계속 당뇨이거나 아기가 소아당뇨를 겪을 수 있으므로, 관리와 검사가 중요합니다.
2. 임당검사는 언제 하고 어떻게 준비하나?
임당검사는 임신 24~28주 사이에 시행하는데요. 임신성 당뇨의 고위험군이라면 임신 초기부터 당뇨에 대한 선별검사가 필요합니다.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 비만이거나 체질량지수(BMI)가 30 이상인 경우
- 가족력이나 과거력에 당뇨병이 있는 경우
- 과거에 임신성 당뇨를 경험한 경우
- 과거에 거대아를 출산한 경우
- 35세 이상의 고령 임산부인 경우
- 다태임신인 경우
- 고혈압이나 고지혈증 등의 기타 대사성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임당검사에는 2단계 접근법과 75g 경구당부하 검사 두 가지가 있습니다. 2단계 접근법은 50g 포도당 섭취 후 1시간이 지났을 때 혈액 중의 포도당 농도를 측정하여 140mg/dL (고위험 산모의 경우 130mg/dL) 이상인 경우 다시 100g 경구당부하 검사를 시행하는 것입니다. 75g 경구당부하검사는 75g 포도당 섭취 후 혈액 중의 포도당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50g 경구당부하검사는 특별한 준비사항이 없습니다. 100g이나 75g 경구당부하검사는 8시간 이상 금식한 후 검사를 시행합니다. 검사 전날에는 탄수화물과 당분을 적게 먹는 것이 좋으며, 검사 당일에는 물이나 껌 등의 당분 음식을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검사 중간에 토할 경우나 검사 시간에 오차가 있을 경우 처음부터 재검을 다시 진행해야 합니다.
3. 임당검사 결과가 높게 나오면 어떻게 하나?
임당검사 결과가 높게 나오면 임신성 당뇨로 진단됩니다. 임신성 당뇨로 진단되면 적어도 2주간 입원치료 및 임신성 당뇨에 대한 교육, 출산 전까지 철저한 식단유지, 매일 혈당검사를 해야 합니다. 또한 인슐린 주사를 필요한 경우 매일 맞아야 합니다. 인슐린 주사는 임산부와 태아에게 안전하며, 임신성 당뇨의 혈당 조절에 효과적입니다. 임신성 당뇨의 치료 목표는 공복 혈당이 95mg/dL 미만, 식사 후 1시간 혈당이 140mg/dL 미만, 식사 후 2시간 혈당이 120mg/dL 미만으로 유지하는 것입니다.
4. 임신성 당뇨를 관리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임신성 당뇨를 관리하는 방법은 3가지입니다. 꾸준한 혈당체크, 식단관리, 꾸준한 운동입니다.
- 꾸준한 혈당체크: 매일 나의 혈당이 어떤지 확인하는 방법은 하루 4번 혈당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인슐린을 사용하고 있을 경우 7번까지 측정해야 합니다. 임신성 당뇨의 혈당 조절은 임산부와 태아의 건강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혈당이 높으면 태아의 발달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혈당을 정상 범위 안에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 식단관리: 임신성 당뇨의 식단관리는 탄수화물의 섭취량과 시간을 조절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탄수화물은 혈당을 높이는 주요 영양소이므로, 너무 많이 먹거나 한 번에 먹으면 혈당이 급상승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하루에 3끼 정도의 주식을 먹고, 간식은 2~3시간 간격으로 먹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탄수화물의 종류에도 주의해야 합니다. 정제된 밀가루나 설탕, 과일주스 등은 혈당을 빠르게 높이는 탄수화물이므로, 피하거나 적게 먹어야 합니다. 반면, 쌀, 고구마, 귀리, 보리, 콩, 견과류 등은 혈당을 천천히 높이는 탄수화물이므로, 적절히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단백질과 지방, 식이섬유, 비타민, 미네랄 등의 다른 영양소도 균형있게 섭취해야 합니다. 단백질은 고기, 계란, 우유, 치즈, 두부 등에서, 지방은 식물성 오일, 견과류, 아보카도 등에서, 식이섬유는 채소, 과일, 견과류, 콩 등에서, 비타민과 미네랄은 채소, 과일, 견과류, 콩, 우유, 치즈 등에서 섭취할 수 있습니다. 식단관리를 위해 식사 전에 식사 계획을 세우고, 식사 후에는 식사 일기를 쓰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꾸준한 운동: 임신성 당뇨의 운동은 혈당을 낮추고, 체중을 관리하고, 임신과 출산에 도움을 주는 방법입니다. 운동은 식사 후 30분 이내에 하는 것이 혈당 조절에 효과적이며, 하루에 30분 이상, 주 3일 이상 하는 것이 좋습니다. 운동의 종류는 걷기, 스트레칭, 요가, 수영 등이 적합하며, 과도한 운동은 피해야 합니다. 운동을 하기 전에는 혈당을 측정하고, 운동 중에는 물을 충분히 마시고, 운동 후에는 혈당을 다시 측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운동을 할 때는 편안하고 안전한 옷과 신발을 착용하고, 날씨에 맞게 옷을 입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임신성 당뇨와 관련된 자주 묻는 질문
- 임신성 당뇨는 왜 생기나요?
- 임신성 당뇨는 임신으로 인한 호르몬 변화와 체지방 증가로 인해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며 발생합니다.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면 인슐린의 작용이 약해져 혈당이 높아지게 됩니다.
- 임신성 당뇨는 누구나 생기나요?
- 임신성 당뇨는 임신 중에만 발생하는 당뇨병으로, 임신 전에는 당뇨가 없었던 사람도 생길 수 있습니다. 임신성 당뇨의 위험인자는 비만, 고령, 가족력, 과거력, 다태임신 등이 있습니다.
- 임신성 당뇨는 어떻게 진단하나요?
- 임신성 당뇨는 임당검사라는 선별 검사를 통해 진단합니다. 임당검사는 임신 24~28주 사이에 시행하며, 50g, 100g, 75g 경구당부하검사 중 하나를 시행합니다. 검사 결과가 정상 범위보다 높으면 임신성 당뇨로 진단됩니다.
- 임신성 당뇨는 어떻게 치료하나요?
- 임신성 당뇨는 혈당을 조절하는 것이 치료의 핵심입니다. 혈당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혈당체크, 식단관리, 꾸준한 운동이 필요합니다. 또한, 인슐린 주사를 필요한 경우 매일 맞아야 합니다. 인슐린 주사는 임산부와 태아에게 안전하며, 임신성 당뇨의 혈당 조절에 효과적입니다.
- 임신성 당뇨는 출산 후에도 계속되나요?
- 임신성 당뇨는 출산 후에 대부분 정상으로 돌아갑니다. 하지만, 임신성 당뇨를 경험한 산모는 출산 후에도 당뇨병의 위험이 높으므로, 정기적인 혈당검사와 건강관리가 필요합니다. 또한, 임신성 당뇨로 인해 태아가 고인슐린증을 겪었을 경우, 출산 후에도 소아당뇨의 위험이 있으므로, 아기의 혈당검사와 건강관리가 필요합니다.
임신당뇨는 무서워 말고 관리하면 건강한 출산을 할 수 있습니다. 임당검사를 통해 임신성 당뇨 여부를 확인하고, 혈당을 조절하기 위해 식단관리와 운동을 꾸준히 해주세요. 임신당뇨는 임신 중에 발생하는 고혈당 상태로, 적절한 관리 없이는 산모와 아기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 검사는 당뇨병의 조기 발견을 돕고, 적절한 치료를 통해 잠재적인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건강한 임신을 위해, 이 시기에 임신당뇨 검사를 받는 것을 잊지 마세요.
'질병 건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28주: 입체 초음파 2차(선택)(태아의 얼굴을 보고 싶다면?) (1) | 2023.12.28 |
---|---|
불안한 생각-침투적 사고 (1) | 2023.12.27 |
20~24주: 정밀 초음파-(보험적용) 예약은 필수 (0) | 2023.12.26 |
16~18주: 기형아 2차 검사, 취약 증후군(자폐검사-선택) 검사 (0) | 2023.12.25 |
12~16주: 입체 초음파 1차(선택) 예약은 필수 (0) | 2023.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