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 건강관리

[성인간호]12 뇌신경

by 미세스널스큄 2021. 6. 2.
반응형

뇌신경은 모두 12쌍이 있으며, 오른쪽 왼쪽 구멍(foramen)을 통과하여 말초로 나온다. 제 1, 2뇌신경(I,Ⅱ)은 전뇌(forebrain)에 부착되어 있고 나머지는 뇌간(brain stem)에서 시작한다. 신체 전반에 퍼져 있는 미주신경(vagus nerves)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뇌신경은 머리와 목을 지배한다. 대부분의 경우 뇌신경의 이름은 뇌신경이 지배하는 가장 중요한 구조물이나 일차적 기능을 나타낸다. 뇌신경은 전통적으로 로마숫자를 사용하여 번호를 매긴다.

Ⅰ. 후신경 (Olfactory Nerve)

  • 기원및 경로 : 후신경섬유는 비강의 후각상피세포에 위치하는 후각감수체 세포에서 기원하여 후구(Olfactory bulb)와 시냅스하기 위하여 사골의 사판(cribriform plate of ethmoid bone)을 통과한다. 이 후구 뉴런의 섬유는 후삭(olfactory tract)의 뒤쪽으로 뻗어나와 전두엽의 아래쪽으로 주행하여 대뇌반구(cerbral hemisphere)로 들어가 일차 후각피질(primary olfacrory cortex)에서 멈춘다
  • 기능 : 냄새에 대한 구심성 흥분을 전달한다.(순수 감각신경)
  • 임상검진 : 커피 또는 담배의 냄새를 맡을 수 있는지 또 각각을 구분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앞두개우묵의 골절, 전두엽의 뇌종양이나 후신경 섬유의 손상은 부분적이거나 전반적으로 후각소실을 일으켜 무후각증(anosmia) 상태가 된다. 각 후각으로는 양쪽후각피질에 동시에 투사되므로 한쪽 후각피질에 병변이 생기는 경우 완전한 무후각증은 일어나지 않는다.
  • 요약 : 냄새를 맡는 작은 감각신경으로 코의 점막(mucosa)으로부터 후구(olfactory bulbs)에 다다른다 이 신경의 후구(olfactory bulbs)와 후삭(tracts)이 혼동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Ⅱ. 시신경 (optic nerves)

  • 기원및경로 : 시신경은 안구의 망막(retina)에서 기시하여 안와공(optic foramen)을 통과하여 좌우의 것이 서로 만나 시신경교차(optic chiasm)를 형성하고 이곳에서 부분적으로 시신경이 교차한다. 다음 시삭(optic tracts)이 되어 시상(thalamus)으로 들어가서 여기에서 시냅스를 이룬다. 이 시상섬유(thalamic fibers)는 시방선(optic radiator)으로서 시각중추(occipital cortex)로 가고 이곳에서 시각적 해석이 이루어진다.
  • 기능 : 시각의 구심성 흥분을 전달한다. (순수 감각신경)
  • 임상검진 : 시각과 시야는 시력검사표와 시야에서 손가락을 움직일때 처음 손가락을 본 지점을 테스트하여 측정한다. 검안경(ophthalmoscope)을 통해 안저의 유두부종(papilledema, 시신경 원판 혹은, 시신경이 안구에서 나가는 곳의 부종)을 검사할 뿐만 아니라 시신경원판과 망막혈관을 정기 검사한다. 시신경 손상으로 시력장애가 발생하고 시신경교차 이상의 시각경로가 손상되면 시각의 부분적 손실이 일어난다. 이러한 시각결손을 anopsias라 한다.
  • 요약 : 시각의 감각신경은 뇌의 일부라고 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그 자체가 뇌의 통로(brain tract)이다.

Ⅲ. 동안신경 (Oculomotor Nerve)

  • 기원 및 경로 : 교와 경계한 중뇌에서 나와 상완와열을 통해 안와골을 지나 안와에 다다른다.
  • 기능 : 동안신경은 고유감수체성 구심신경섬유(proprioceptic afferents)를 포함하고 있지만 이름에 함축된 것처럼 안구의 운동을 담당하며 각 신경은 다음과 같다. (혼합성 신경)

-체성운동섬유(somatic motor fibers) : 6개의 외안근 중 안구의 움직임을 돕는 4개의 하사근, 상-하 내측 직근(inferior oblique, superior, inferior, medial rectus muscles)과 상부 안검을 올리는 상안검거근(levator palpebrae superioris m.)이 있다.

-부교감성 운동섬유(parasympathetic automatic motor fibers) : 동공을 축소시키는 홍체의 괄약근(constrictor muscle)과 초점을 조절하기 위해 렌즈를 조절하는 모양체근(cillary m.)이 있다.

-감각성 구심섬유(propriocepter afferent fibers) : 이는 4개의 외안근으로부터 나와 중뇌(midbrain)에 분포한다.

  • 임상검진 : 동공의 크기, 모양을 측정한다. 동공반사는 펜라이트(penlight)로 검진한다. 동공은 빛을 비추었을 때 수축한다. 먼곳을 보다가 가까운 물체를 응시할 수 있는지(폭주, convergence) 측정한다.'

-신경이 마비되면 눈이 위아래, 옆 코 안쪽으로 움직이지 못하며 눈동자는 밖으로, 바깥쪽으로 돌아가게 된다. (외측사시 : external strabismus). 이는 3번 노신경에 의해 지배받지 않는 두 개의 외안근에 의한 것으로 3번 신경의 지배를 받는 근육들의 저항이 없기 때문이다. 상안검이 감겨지고(ptosis) 복시(double vision)가 생기며, 근접 물체에 대해 초점이 잘 안 맞게 된다.

  • 요약 : 이 신경은 눈(orbit)의 안구(eyball)를 움직이게 하는 6가지의 외인성 근육(extrinsic muscle) 중 4개를 지배하므로 '안구 운전사(eye mover)라는 다른 이름을 갖는다.

Ⅳ. 활차신경(trochlear nerves)

  • 기원 및 경로: 이 신경섬유는 배측 중뇌(dorsal midbrain)에서 나와 중뇌의 앞쪽(ventral)을 돌아 상안와열(superior orbital fissure)을 통해 동안신경과 함께 따라 들어간다.
  • 기능 : 외안근 중 하나인 상사근으로부터의 고유감수체신경(propriocepter fibers)을 전달하고 이 근육에 체성운동섬유를 제공한다. (혼합신경이나 일차적으로 운동신경)
  • 임상검진 : 보통 3번 뇌신경과 함께 측정한다.  활차신경이 손상되거나 마비되면 복시(double vision)가 생기며, 눈의 아래 외측으로의 움직임이 감소한다.
  • 요약 : 이 신경의 이름은 '도르래(pulley)'를 의미하며 6개의 외안근(extrinsic eye muscle)중 1개를 지배한다. 눈에서 활차 모양의 인대로 고리를 만들며, 상사근(superior oblique muscle)을 지배하여 눈이 코 아래쪽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Ⅴ. 삼차신경(trigeminal nerves)

  • 가장 큰 뇌신경이다. 교에서부터 얼굴까지 뻗어 있고 세개로 나누어진다. Trigeminal 은 3개라는 뜻이다.
  안신경
(ophthalmic division V1)
상악신경
(maxillary division V2)
하악신경
(mandibular division V3)
기원과 경로 얼굴에서부터 상완와열을 통해 뇌교로 주행한다. 이 신경은 정원공(foromen rotundum)을 통해 얼굴에서 뇌교로 주행한다. 난원공을 거쳐 두개골을 통과한다.
기          능 앞이마, 상안검, 코, 비강점막, 각감과 누선의 감각 흥분을 전달한다. 비강과 구개, 윗니, 뺨, 윗입술 하안검의 감각신경을 전달한다. 미뢰(taste buds)를 제외한 혀의 전방, 아랫니, 뺨, 측두부의 감각흥분을 전달한다. 저작근에는 운동섬유가 있으며, 저작근의 고유수용체섬유를 통해 흥분이 전달된다.
임상 검진 각막반사로 확인한다. 솜뭉치를 각막에 접촉시켰을때 깜박거리게 유도한다. 안전핀과 뜨겁고 찬 물체로 통각, 촉각, 온각을 검사한다. 운동신경가지를 사정할 때는 이를 악물게 하거나 힘에 저항하여 입을 열게하고 턱을 좌우로 움직이게 한다.

삼차신경통(tic douloureux 또는 trigeminal neuralgia)은 삼차신경의 염증에 의한 것으로 가장 참기 어려운 통증으로 알려져 있다. 몇 초에서 일분 동안 지속되는 찌르는 듯한 통증이며  하루에 수백 번 발생하며 사라진다. 이는 보통 양치질할 때 심지어는 바깥 공기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삼차신경통은 삼차신경근이 압박되어 생기며 진통제에 부분적 효과가 있을뿐이다. 심할 경우 삼차신경절 근위부(proximal)를 절단시켜 통증을 경감시키나, 이는 또한 동측 안면의 감각 손실을 일으킨다.

  • 요약 : 뇌신경중 가장 큰 것으로 세개의 가지를 형성한다. 이는 얼굴감각과 저작근을 지배한다.

Ⅵ. 외전신경(abducens nerves)

  • 기원 및 경로 : 교의 아래쪽에서 나와 상안와열을 통해 안와로 들어간다.
  • 기능 : 혼합성 섬유, 일차적으로 운동신경 : 외안근 중 외측 직근(external rectus muscle)을 지배하고, 이 근육으로부터 고유감각(proprioceptor) 흥분을 전달한다.
  • 임상검진 : 보통 3번 뇌신경과 함께 검사한다. 외전신경이 마비된 경우 눈은 외측으로 움직일 수 없고 눈이 안쪽 코 쪽으로 향하는 내사시(internal strabisnus)가 된다.
  • 요약 : 이 신경은 외안근(extrinsic eye muscle)을 조절하는 것으로 안구(eyeball)를 외전시킨다.

Ⅶ. 안면신경 (the facial nervese)

  • 기원 및 경로 : 이 섬유는 교에서 외전신경의 옆에서 시작하며 내이도(internal acoustic meatus)를 통해 측두골로 들어가 뼈 안을 통해(내이강) 주행한다. 경유골공(stylomastoid foramen)을 통해 빠져나와 얼굴의 측면으로 진행한다. 
  • 기능 : 얼굴의 주운동신경이며 5개의 주 섬유가지를 갖는다. 측두지(temporal), 관골지(zygomatic), 하악지(mandibular), 경지(cerical) (혼합성 섬유)

-삼차신경이 담당하는 뺨의 근육을 제외하고 안면 골격근(표정근)에 운동성 흥분을 전달하며 근육으로부터 교(pons)로 고유감수체성 흥분을 전달한다.

-누선, 비선, 구개선, 악하선 및 설하선에 부교감성 운동 흥분을 전달한다.

-혀의 전방 2/3의 미뢰로부터의 감각흥분을 전달하며 이 감각 뉴런의 세포체는 슬신경절(geniculate ganglion)에 존재한다.

  • 임상검진 : 단맛, 쓴맛, 신맛나는 물질을 맛보게 하여 혀의 전방 2/3부분의 감각을 검진한다. 대상자에게 눈을 감거나 웃거나 휘파람을 불게하여 얼굴의 대칭성을 확인한다. 암모니아를 분무하여 눈물을 흘리는지 관찰한다. Bell's palsy는 한쪽 안면근 마비와 미각이 부분적으로 소실되는 특징이 있고, 빠르게 진행하며,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안면신경의 염증에 의한것으로 추정된다. 하안검이 쳐지고 입의 한쪽이 쳐져 정상적으로 말하거나 먹는 것이 힘들어진다. 계속적으로 눈물이 나며 눈이 완전히 감겨지지 않으나 치료없이 자연적으로 사라지기도 한다.
  • 요약 : 표정근에 신경 전달을 하는 큰 섬유이다. 또 혀 앞1/3부분의 감각을 담당하고 있다.

Ⅷ. 전정와우신경(vestibulocochlear nerves)

  • 기원 및 경로 : 이 신경은 측두엽의 내이에 있는 평형기관과 청력기관에서부터 시작하여 내이도를 통해 뇌간의 교와 연수 경계부로 들어간다. 와우(cochlea)에 있는 청각수용체로부터의 구심성신경은 와우신경가지를 형성하고 반규관(semicircular canal)과 전정(vestibular)에의 평형감각수용체로 부터의 구심성 신경은 전정신경(vestibular division)을 형성한다. 두 신경가지는 전정와우신경(vestibulocochlear never)으로 융합된다.
  • 기능 : 전정신경가지는 평형감각의 구심성 흥분을 전달하고 감각신경세포체는 전정신경절(vestibular ganglia)에 위치한다. 와우신경가지는 청각의 구심성 흥분을 전달하고 감각신경세포체는 와우 안에 있는 나선신경절(spinal ganglion)에 있다.
  • 임상검진 : 청력은 음차(turning fork)를 사용하여 공기와 골전도를 확인한다. 와우신경 혹은 와우감수체에 병변이 있으면 중추성(신경성)난청이 일어나고 전정신경가지가 손상되면 어지러움증, 빠르고 비자발적인 안구운동, 평형감각 손실, 오심, 구토가 일어난다.
  • 요약 : 이 신경은 청각과 평형감각신경으로 이전에는 이신경(auditory nerve)이라 불렀다.

Ⅸ . 설인신경(glossopharygeal nerves)

  • 기원 및 경로 : 연수에서 나와 경정맥공을 지나 인후로 내려온다.
  • 기능 : 고유감각은 고유감각수용체에 의해 중추로 전달하고 상인두근은 연하반사와 구토반사에 영향을 미친다. 이하선은 부교감성 운동신경이 지배한다. 부교감성 운동신경의 신경세포체 중 일부는 이 신경절(optic ganglion)에 위치한다. 감각신경은 인두와 혀의 후반부로부터 맛과 일반감각(촉각,압각,통각)을 전달하며, 또한 경동맥체(carotid body혈중 O2와 CO2를 감지하며 호흡률과 깊이를 조절한다.)의 화학수용체로부터 경동맥동(carotid sinus-되먹이기전에 의해 혈압을 조절한다.)의 압력 수용체로부터 흥분을 전도한다. 이 감각뉴런의 세포체는 상하 신경절(superior inferior ganglia)에 존재한다.(혀와 인두에 신경을 전달하는 혼합신경)
  • 임상검진 :  구개수(uvula)의 위치를 확인한다. 연하반사, 구토반사를 확인한다. 대상자에게 말하고 기침하도록 한다. 혀의 후방 1/3의 미각을 확인한다. 설인신경이 손상되거나 염증이 있으면 연하작용과 미각(특히 쓴맛과 신맛)이 손상된다.
  • 요약 : 이 이름은 '혀(tougue)와 인두(pharynx)'를 의미하며, 이곳으로 신경을 전달한다.

Ⅹ. 미주신경(vagus nerves)

  • 기원 및 경로 : 뇌신경 중 유일하게 뇌와 목 이하의 부분까지 지배하는 신경이다. 이는 연수에서 기시하여 두개골의 경정맥공(jugular foramen)을 통해 경부로 내려가 흉곽과 복부로 내려간다.
  • 기능 : 인두와 후두에 있는 연하와 관련된 골격근을 지배하는 신경을 제외하고 거의 모든 운동신경은 부교감성 원심신경이다. 부교감성 운동섬유는 심장, 폐, 내장기에 공급되며 심박과 호흡, 소화계작용을 조절한다. 이들은 흉곽과 복부, 장기로부터 혈압을 감지하는 압력 수용체인 경동맥동, 호흡에 대한 화학수용체인 경동맥체와 대동맥체, 인두와 후두근으로부터의 고유감각수용체섬유가 중추로 전달된다. (혼합신경)
  • 임상검진 : 9번 뇌신경과 10번 뇌신경 모두 인후와 구강근육을 지배하므로 함께 검진한다. 거의 모든후두(voice box)근이 미주신경의 후두신경가지에 의해 지배되므로 미주신경이 마비되면 쉰목소리를 내거나 목소리를 잃게 된다. 다른 증상으로는 연하곤란이 있으며 소화기관의 운동성에 영향을 준다. 부교감신경은 정상상태에서 내장기관의 활동을 유지하는데 중요하므로 이들없이 교감신경만 활동한다면 생명이 위험하다.
  • 요약 : 이 신경의 이름은 '방랑자(wanderer)'를 의미하며 뇌신경중 유일하게 머리와 목뿐 아니라 흉곽(thorax)과 복부(abdomen)에 퍼져있다.

Ⅺ. 부신경 ( accessory nevers)

  • 기원 및 경로 : 유일하게 뇌신경근과 척수근이 합쳐진 것으로 뇌신경근은 뇌간의 연수의 외측으로부터 기시하며 척수근은 척수의(C1-C5)상부에서 나온다. 척수근은 척수를 따라 상행하여 두개골의 후두공(foramen magnum)을 통과한 후 일시적으로 뇌신경근과 연합한다. 그 후 다시 뇌신경섬유와 척수신경섬유가 갈라진다. 뇌신경은 미주신경과 연합하고 척수신경근은 가장 큰 목근육으로 주행한다.
  • 기능 : 뇌신경가지는 미주신경섬유와 융합되어 후두 인두와 연구개에 운동섬유를 공급하고 척수근은 승모근(trapezius)과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 m.)에 운동섬유를 공급하여 목과 머리를 움직이고 근육으로부터의 고유감각성 흥분을 전달한다.(혼합신경이지만 기능상 우선적으로 운동신경이다)
  • 임상검진 : 저항에 대항하여 머리를 돌리거나 어깨를 으쓱해 보도록하여 흉쇄유돌근과 승모근의 근력을 확인한다. 부신경 중 하나인 척수근이 손상을 입을 경우, 흉쇄유돌근의 마비에 의해 손상받은 편으로 머리를 돌릴 수가 없다. 어깨를 으쓱 올리는 것도 힘들게 된다.
  • 요약 : 이는 미주신경(vagus nerve)의 부수적인 부분으로 생각되며 이전에는 척수부신경(spinal accessory)이라 불렀다.

Ⅻ. 설하신경(hypoglossal nerves)

  • 기원 및 경로 : 설하신경은 혀를 주로 지배한다. 이 신경섬유는 연수로부터 나온 신경근 계열로 설하신경관(hypoglossal cannal)을 통해 두개골을 나와 혀로 간다.
  • 기능 : 혀의 내, 외인성 근육에 체성 운동신경섬유를 전달하며 이 근육들로 부터 뇌간으로 고유감각수용섬유가 자극을 전달한다. 설하근은 저작시 혀에 의해 음식물이 섞이게 할 뿐만 아니라 혀를 움직여 연하와 발음에 관여한다.(혼합신경이나 기능상 일차적인 운동신경)
  • 임상검진 : 혀를 내밀고 입안으로 들여보내도록 한다. 어떠한 이탈편향이 보이는지 주시한다. 설하신경의 손상은 발음시, 연하시 문제를 일으킨다. 두 신경이 손상당하면 혀를 내밀 수 없다. 오른쪽 또는 왼쪽 한쪽만 손상되면 손상받은 쪽으로 기울어진다. 손상된 쪽은 결국 위축(atrophy)된다.
  • 요약 : '혀 아래(under the tongue)'라는 이름으로 혀 아래로 주행하며 혀를 움직이는 근육에 신경을 전달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