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 건강관리

DIC(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파종혈관내응고

by 미세스널스큄 2021. 6. 20.
반응형

1. 정의 

   전신의 세포혈관 내에 혈전이 다발하는 증후군

  임신후반기 또는 분만 중에 신체적 손상의 결과로 발생한다. 광범위한 혈전형성의 원인은 프로트롬빈, 혈소판 농도의    증가, 기타 다른 응고요인들의 발생에 의해 나타나며 결국에는 혈액응고 인자가 소모되어 심한 출혈이 나타난다.

  태반출혈, 자궁강내 태아사망, 양수색전증, 패혈증 등이 발생할 경우 DIC의 발생요인이 되며 임신중에 갑작스럽게

  일어날 수 있다.

2. 원인과 유발요인

   패혈성쇼크

   태반출혈 또는 자궁의 다량 출혈

   자궁내 태아사망 후 트롬보프라스틴(thromboplastin)의 방출

   양수색전증

   자간증이 있는 경우 이차적으로 신장, 간, 뇌에서의 혈전 형성시

3. 임상증상

  ① 출혈(혈소판과 응고인자의 소모로 인함)

      : 출혈증상-비출혈, 점상출혈, 반상출혈, 수술부위나 태반박리부위 또는 오래된 상처부위의 출혈, 대변이나 구토의           혈액의 양성반응 혈압저하, 체위성 저혈압, 빈맥, 농축 적혈구량의 감소와 불안정

  ② 국소빈혈로 인한 장기손상

  ③ 적혈구 손상

  ④ 용혈로 인한 쇽

  ⑤ 혈전이 가장 흔히 생기는 기관은 신장, 혈뇨 나타남

  ⑥ 중추신경계의 혈전형성 : 뇌혈류 차단해 의식수준의 변화, 발한

  ⑦ 손가락 발가락의 반점

4. 진단

   임상증상 및 혈액검사로 진단함

  ① 혈소판수 감소

  ② PT,PTT 길어짐

  ③ 섬유소원 수치 감소

  ④ 섬유소 분해산물(fibrin degradation produce)는 증가 : 혈관이 파괴되면 아드레날린이 분비되어 혈관이 수축하고

     혈관벽이 수축하고 혈관벽의 노출된 콜라겐에 혈소판이 붙게 된다. 이차적으로 응고인자가 활성화되어 결국 

     섬유소원(fibrinogen)이 섬유소(fibrin)로 되고 섬유소끼리 뭉쳐서 섬유소중합체(polymer)가 되어 응괴에 붙어서

     단단해진다. 만들어진 응괴는 섬유소용해효소(plasmin)를 활성화시킨다. 섬유소용해효소에 의해 섬유소중합체원가

     분해되면 섬유소분해산물(FDP)이 생긴다. 섬유소분해산물은 섬유소원이 섬유소로 된느것을 막아서 항응고작용을

     한다.

  ⑤ 천자부위에서의 출혈, 지주출혈, 혈뇨, 점상출혈 

5. 모체, 태아 및 신생아에 미치는 영향

   응급적인 집중적 간호가 필요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태아상태를 감시하는 간호사와 함게 중환자실로 옮긴다.

   태아와 신생아의 위험은 DIC에 의해서는 증가되지 않고 패혈증, 산독증, 저혈압과 같은 모체의 신체적 문제에 의해서

   온다. 태아와 신생아에 직면한 주요위험은 저산소증이다. 모체의 신체상태가 급격히 악화되고, 위기상태에서는 태아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서 응급제왕절개수술을 실시한다.

6. 치료

   발생 후 첫 2시간이 생명의 위기시기이다.

  ① 활력징후 측정과 요배설량을 사정

  ② 태아의 분만 및 태반만출과 모체의 신체적 안정

  ③ 질분만 유도 : 지혈기전에 적은 영향 미친다.

  ④ 6~12시간 이내에 채혈한 신선한 전혈(whole blood)수혈해 소모된 혈액응고 요소의 보충

  ⑤ 적어도 요량은 시간당 30~50ml를 유지

  ⑥ 치료 : heprin주입(혈관내벽의 응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계속적 혹은 간헐적으로 정맥주입하는데 처방된 속도를 

              엄밀히 관찰, 출혈증상 관찰)

7. 간호중재

  ① 정맥주사부위, 치주, 비출혈이 나타나는 경우 즉시 보고

  ② 환자곁에서 계속 관찰하며 주사부위에 직접 압박을 가한다.

  ③ 활력징후 측정, 태아 심음 계속 감시

  ④ 혈액투여를 위해 큰 주사바늘을 삽입

  ⑤ 요배설량 측정위해 유치카테터 삽입

  ⑥ 태아와 산부의 저산소증을 막기위해 측위로 눕힌다.

  ⑦ 합병증과 치료과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해 주어 정서적 지지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