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50

자궁내막증 1. 자궁내막(endometrium) 자궁 내막은 점막으로 이루어져 있음 알카리성 분비물을 생성하는 선이 들어있는 원주상피(columnar epithelium) 조직으로 된 기저층(basal layer), 표층의 조밀층(compact layer)과 중간층의 해면체인 (sponge layer)느슨한 결함조직으로 되어있으며 월경이나 분만후 탈락됨. 내막에는 혈관이 많이 있다. 2. 자궁내막 두께의 기준 자궁내막은 생리 주기에 따라 계속적으로 변화한다. 배란 전에는 두꺼워지기 시작하여 배란기 때에 가장 두꺼운 상태를 유지하다가 생리 때 무너져 내려서 다시 얇아진다. ​배란기 기준으로 자궁 내막은 8mm~12mm 가 정상. 개인 차이는 있겠지만 배란기 기준 아무리 두꺼워도 15mm를 넘지 않는 것이 정상.즉 1.. 2023. 1. 10.
자궁과 난관의 기형(Malformation of uterus and salpinx) 자궁과 난관 기형의 분류는 태생기에 뮐러관의 무발육, 뮐러관의 수직융합과 융합 후의 발육이상등으로 분류 이에 따른 자궁기형의 종류 1. 무자궁(absensce of the uterus) : 대부분이 질결여를 동반하지만 드물게 질은 정상 길이로 발달되어 있으면서 자궁이 없는 경우가 있다. 2. 단각자궁(unicornuate utrus) : 뮐러관이 한쪽만 발달되고 한쪽은 발달이 완전히 저지된 경우-임상적으로 이상을 일으키는 경우는 거의 없다. 3. 흔적자궁각: 한쪽 뮐러관의 발달은 정상이고 다른 쪽 뮐러관의 발달이 불완전할때 형성한다. 대부분은 반대쪽 단각자궁과 연결이 없으며 섬유성 대(fibrous band)로 연결되어 있다. 자궁내막의 기능이 없으면 증상이 없고 자궁내막의 기능이 있으면서 반대측과의 연.. 2022. 12. 22.
태위, 태세 및 태아발육 이상(분만 중 난산) 1. 후방후두위(occipito posterior position)-아두골반불균형 원인 : 남성형이나 유인원형 골반, 협골반인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한다. 활동기지연이나 하강정지 등의 기능부전성 분만형태는 후방두정위를 암시할 수 있다. 특성 및 예후 : 제대탈출의 위험이 높다 : 분만이 지연될 수 있다. : 천골신경압박에 따른 요통을 호소한다. : 산후출혈 및 감염의 빈도가 높다. 간호 : 허리마사지 체위변경 : 분만 중 2시간마다 배뇨하도록 하고 무통분만 중에는 nelaton배뇨를 시행한다. : 태아의 심장소리를 측정하며 정맥으로 수액을 주입한다. : 정서적 지지 2. 둔위(breech presentation) : 만삭아 분만의 3.5%, 조산분만의 20~25% 정도. 태아의 둔부나 혹은 하지가 선진부로.. 2022. 12. 15.
PIH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고혈압(pregnancy induced hypertention, PIH) def.)임신성 고혈압(PIH)은 출혈, 감염과 함께 3대 모성 사망의 원인으로 부종, 단백뇨를 동반하고 고혈압을 치료하지 않으면 경련이 있을 수 있다. 임신성 고혈압의 발생 시기는 임신 20주 이후 부터 분만후 48시간 이내이며 보통 분만 후 10일 이내에 태아분만이 이루어지면 사라진다. 만성고혈압성 혈관질환은 임신전 혹은 임신 20주전 또는 분만 48시간 후에도 지속적으로 고혈압을 나타낸다. 1. 원인 원인불명이 대부분-혈관내피 기능 장애설(태반상의 나선 동맥에 영양막의 침투가 잘 일어나지 못함으로 나선 동맥에 혈관 확장이 일어나지 못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태반에 혈액 공급이 감소되므로 모체혈관 내피가 비정상적으로 기능이 .. 2022. 12.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