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산부인과20

자궁근종(myoma of the uterus) def.) 자궁에서 발생하는 종양 중 가장 흔함. 35세 이상의 여성 중 약 20%가 가지고 있으며 어느 연령에서나 발생 가능하지만 30~45세에 호발되고 폐경기 이후에는 대개 크기기 줄어듬 (1) 원인 에스트로겐에 의존하여 근종이 성장 : 난소의 기능이 왕성할 때 근종이 잘 자라고 초경 이전이나 폐경기 이후에는 발생이 드물며 특히, 폐경기 이후에는 근종이 크기가 감소하므로 (2) 종류 ① 점막하 근종 : 자궁내막 바로 아래 발생, 약 5% 차지, 작은 크기로도 출혈의 원인이 되기 쉽고 육종성 변성의 위험이 많음 ② 근층내 근종 : 자궁근종 대부분 차지, 자궁의 근육층에 발생한 근종, 크기가 크고 다발성 일때는 자궁이 현저히 커지고 결절이 뚜렷하며 견고 ③ 장막하 근종 : 복막 바로 아래 발생, 임신시 .. 2021. 11. 22.
산후정신장애(postpartal mental disorder) 1. 정의 -출산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정신장애 2.원인 -호르몬의 변화 -신생아를 돌봐야 한다는 정신적 스트레스 -고독감 -산모가 어릴때 부모로부터 따뜻한 지지와 관심을 받지 못한 경우 3.유형 분류 산후우울(postpartum blues) 산후우울증(postpartum depression) 산후정신병(postpartum psychosis) 발병시기 산욕 초기에 일시적 산후3~5주에 심함 산후2~6주 재발율 높음 산후 6개월에도 나타남 대개 산후 1개월 이내 가장 흔한 발생 시기는 산후 2주 이내 증상 경한 우울 : 운다 상실감, 부적절함, 울고 싶음, 피로, 두통, 빠른 기분 변화, 저하 불안, 공포, 실망감이 심함 아기때문에 피해를 당한다는 걱정, 체중 감소, 희망이 없음, 불면증, 안절부절, 강박관.. 2021. 10. 15.
임부의 생리적 변화 1. 생식계 ① 자궁 -자궁이 비대 및 증대됨 : 임신 기간 자궁은 성장하는 태아를 수용하도록 팽창함 자궁 비임신시 임신40주 길이 6.5cm 32cm 넓이 4cm 24cm 두께 2.5cm 22cm 무게 50g 1000g 이상 용적 10ml 이하 1000ml 이상 -자궁의 모양과 위치가 변화됨 : 임신이 진행됨에 따라 자궁의 모양과 위치는 변화함 -HOF(Height of Fundus,자궁저높이) : 임신 주수 측정 가능 임신 주수 자궁의 모양과 저부의 위치 8주 자궁은 아직 복부에서 촉진되지 않으며 서양배 모양을 유지함 12주 자궁이 골반강을 채울 정도로 커녀 저부가 치골결합 위로 올라옴. 이때 자궁저부는 오른쪽으로 기울임(dextrorotation)(복강 내의 작장과 S자 결장이 왼쪽에 위치하기 때문.. 2021. 10. 9.
태아의 생리 1. 심맥관계 -태아가 발생할 때 가장 먼저 기능을 발휘하는 기관 ① 임신3주 말이 되면 혈액순환에 의해 산소, 노폐물이 교환됨 ② 태아의 혈액 순환 과정 2. 호흡계 -태아의 폐는 출산 후에야 기능을 하기 시작하고, 배아기에서 유아기까지 계속 발달함 ① 계면활성물질 ② 부족시 호흡장애증후군으로 발전할 수 있음 ③ 레시틴(계면활성제의 주요성분)은 양수 내에 축적되어 35주에 최고조에 달함(태아 폐의 성숙도 정도를 알 수 있음) 3. 조혈계 ① 임신 3주 : 난황낭 내에서 조혈이 개시됨 ② 임신 5주 : 조혈생성세포 형성 ③ 임신 6주 : 간에서 조혈 시작 ④ 임신8~9주 : 골수, 비장, 흉선 및 임파절에서 조혈 작용함 4. 신장계 -임신 5주에 만들어져 8주부터 기능 시작 ① 임신 12주 : 소변생성 .. 2021. 10.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