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산부인과20

자궁파열(utrine rupture) 자궁의 근육이 열상을 입어 파열되는 현상(주로 협부나 체부) 1. 원인 다산부 : 다산으로 자궁근육이 늘어나 있어 탄력성이 약하고 분만시에 강한 수축이 오므로 자궁파열 가능성이 많다. 분만중단 : 태위 이상등으로 인하여 분만이 중단되면서 수축이 계속되면 자궁상부는 계속 견축되고 두꺼워지며 하부는 얇아진다. 이때 수축륜이 점점 높아지면서 자궁하부가 파열될 수 있다. 과거 제왕절개나 자궁절 수술반흔 혹은 인공유산으로 내막이 얇아진 경우에 올 수 있다. 수축제를 부적절히 사용한 경우에 올 수 있다. 경관이 완전 개대되기 전에 감자분만을 실시한 경우에 파열될 수 있다. 이상태위의 무리한 교정시 올 수 있다. 자궁저부의 지나친 압력으로 올 수 있다. 2. 증상 완전파열 : - 날카로운 복부동통 호소 -자궁수축 중.. 2021. 8. 30.
Female Reproductive(여성생식계) System CS C-section : cesarean section (제왕절개) D & C : dilation and curettage (자궁경관확장과 내막소파술) EDC : estimated day of confinement (출산예정일) LMP : last menstrual period (최종월경기) PID : pelvic inflammatory disease (골반염증질환) IUD : intrauterine device (자궁내 장치) IUP : intrauterine pregnancy (자궁내 임신) IUFD : intrauterine fetal death (자궁내 태아사망) IUGR :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자궁내 성장지연) DUB : dysfunctional uter.. 2021. 7. 21.
자궁외임신(ectopic pregnancy) 수정란이 자궁강 이외 다른 부위에 착상하는 (난관 팽대부 착상이 가장 흔함) 1. 원인 -골반 내 염증(PID)이나 성병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 -이전에 불임 수술을 포함한 난관 수술을 받았던 경우(자궁외 임신 과거력) -난관의 선천성 기형 -피임의 목적으로 프로게스테론이 함유된 자궁내 장치(IUD)이용 -시험관수정 -프로제스테론이나 에스트로젠 제재 복용중 -자궁내막증 2. 증상 -골반 부위의 압통과 비정상적인 질출혈 -심한 하복부에 찌르는 듯한 복통 -견갑통, 제와부 주위의 점상 출혈(Cullen's 증후) -저혈압, 빠르고 약한 맥박, 빈호흡 3. 간호관리 -무월경, 복통, 점적출혈, 자궁주위조직에 골반 내 덩어리 촉진 등의 자궁에 임신여부 확인 -출혈정도 확인 -매15분마다 활력징후 측정 -현훈, 견.. 2021. 7. 7.
임신 임신의 징후와 증상 임신의 주관적, 객관적 증상과 징후는 대상자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경험하며 추정적, 가정적, 확정적 징후로 분류함 추정적 징후 가정적 징후 확정적 징후 -무월경 -입덧(오심, 구토) -빈뇨 -유방의 민감성 증가 -태아 움직임 인지(첫태동) -질점막 색깔의 변화(chadwick's sign) -피로감 -복부증대 -자궁의 크기, 모양, 경도의 변화 -복부 촉진에 의한 태아 윤곽 확인 -복구감에 의한 태아 확인 -경부의 유연성증가 -자궁수축(braxton hicks contraction) -Hegar's sign -McDonald's sign -Goodell's sign -태아 심음 청취 -의료인에 의한 태아 움직인 확인 -초음파 및 방사선 촬영에 의한 태아확인 임신 주수에 따른 신체변화 .. 2021. 6.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