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산부인과20

산후출혈(postpartum hemorrhage) 산후출혈은 중요한 합병증에 속하며 3대 모성상망 원인중에 하나이다. 정의 : 태아를 만출한후 24시간내에 산도로부터 500cc이상 출혈하는 것을 말하며 태반배출전이나 후에 출혈할 수 있다. (정상출혈양 : 200-300cc) 원인 : 산후출혈의 3대원인은 자궁이완과 산도(회음,질,경관)의 열상 및 혈액응고장애등이다. 기타 자궁내변, 혈액응고장애, 자궁종양,감염등은 간접적인 원인이다. 1.이완성 자궁출혈 : 자궁근육의 수축과 견축이 잘 되지 않아서 태반부착부위의 큰 혈관들이 충분한 압박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불완전 태반박리 : 태반이 완전히 붙어있으면 출혈이 없지만 박리가 시작되고 불완전한 박리상태가 지속되면 출혈이 계속일어날수 있다. -잔류태반이나 막의 잔류로 인해 출혈이 생길수 있다. 2.열.. 2021. 6. 18.
조기진통(Preterm labor) 1.정의 임신37주 이전에 진통이 시작되는 것 조산의 원인으로 많은 산과적 문제 야기(합병증으로 인한 신생아 주산기 이환율과 사망류의 2/3차지) ->정기적 산전관리를 통한 조기발견, 치료, 조산의 예방중요 2. 원인 및 위험요인 원인불명 약 1/3 : 조기파막후에 조기진통이 흔히 발생 ※미국 의학회에서 분류한 조산의 위험요인(Risk factor for preterm labor) ①인구통계학적 요인 : 종족, 미혼, 연령(18세 이하, 35세 이상), 교육, 사회 경제수준이 낮은 집단 ②의학적 요인 -과거 조기 진통이나 조산의 경험 -임신 2기 유산(두번 이상의 자연 혹은 치료유산) -자궁기형 -내과적인 질환(당뇨병, 고혈압) -현재 임신의 위험요인:다태임신, 양수과다증, 체증증가의 불량, 태반문제(전.. 2021. 6. 17.
NST(Non Stress Test : 무자극 검사, 비수축검사)의 기록지 가로의 작은 한칸(5mm)은 10호를 의미한다. 즉 여섯 칸(3cm)은 1분을 의미한다 NST의 기록지는 눈금이 상측과 하측에 나누어져 있는데 상측에 있는 눈금은 FHR(fetal heart rate)를 나타내고 하측에 있는 눈금은 자궁근의 수축을 나타낸다. 하측에 있는 눈금 위쪽으로 검은 점들은 대상자가 들고 있는 클릭 가능한 Bar의 스위치를 아기가 움직일때 마다 클릭하는 것을 나타낸다. NST의 정상반응은 태동과 함께 심박동수가 상승하는 것을 말한다. 기본변화 특징 임상적의의 간호중재 빈맥 •중정도:160~180bpm •심한정도:180bpm이상 •조기 저산소증 •약물투여시 •감염, 발열 •FHR, V/S, 자궁수축 측정 •산모자세변경 •지속적 관찰 서맥 •중정도:100~120bpm •심한정도:100.. 2021. 6. 16.
[모성]질염 (vaginitis) 질의 감염은 여성생식기 감염에서 가장 흔한 질환이며, 완치가 힘들고 자주 재발한다. 연령에 따라 질조직에 변화가 있으므로 연령에 따라 질감염의 특성이 다르다. 여성의 과로나 긴장 및 과민한 경우에 질 분비물이 현저히 증가한다. 사춘기이전이나 폐경기 이후에는 질상피가 얇아져 임균이나 비특이성균 등의 감염이 쉽게 일어난다. 원인)꽉 조이거나 합성제품속옷 착용, 여성용 방향제, 비누,뒷물에 대한 알레르기, 너무뜨거운 질세척 그밖에 자궁강이나 자궁경부의 분비물에 의한 감염이나 당뇨병은 소변에 당이 많아서 효모균의 칩입과 성장을 증가시키는 오인이 되기도 한다. 질내에는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포도상구균(staphyloccus), 데드라인 간균(doderlein bacillus), 유디프테리아균(d.. 2021. 5. 31.
반응형